anmoc

logo
LOG IN 로그인
  • gallery
    • bookshop
      • 안목출판사
      • 해외사진집
      • 사진관련 추천도서
      • 봄날의책
      • 기타상품
    • workshop
      • printshop
        • about

          anmoc

          logo
          • gallery
            • bookshop
              • 안목출판사
              • 해외사진집
              • 사진관련 추천도서
              • 봄날의책
              • 기타상품
            • workshop
              • printshop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anmoc

                  logo

                  anmoc

                  logo
                  • gallery
                    • bookshop
                      • 안목출판사
                      • 해외사진집
                      • 사진관련 추천도서
                      • 봄날의책
                      • 기타상품
                    • workshop
                      • printshop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anmoc

                          logo

                          강운구 사진론

                          22,500원 25,000원
                          기본 할인2,500원
                          저자 : 강운구
                          양장 
                          376쪽
                          25,000원
                          열화당 (2010년 10월 7일) 
                          ISBN 9788930104913
                          배송비 -
                          함께 구매 시 배송비 절약 상품 보기
                          추가 금액
                          수량
                          품절된 상품입니다.
                          주문 수량   0개
                          총 상품 금액 0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밴드
                          구글 플러스
                          상세 설명 머리글
                          상세 설명
                          상세 설명 바닥글
                          후기(0)
                          질문(10)
                          관련 상품

                          사진작가 강운구가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근 40년 동안 신문, 잡지, 사진집 등에 발표했던 사진에 관한 글을 담은 책으로, 사진 매체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을 비롯해, 한국사진 비평, 작가론, 서평, 대담 등, 사진으로 향하는 여러 길목에 놓인 그의 생각들을 만날 수 있다.

                           

                           

                          출판사 책소개

                           

                          “사진의 본령은 사실적 기록에 있다” ― 사진가가 쓴 사진론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 강운구(姜運求, 1941- )가 197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여러 지면들에 발표했던 사진 관계 글들을 묶은 『강운구 사진론』을 선보인다.사진가가 ‘사진집’이 아닌 ‘사진론’을 출판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960년대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한 그가 본격적인 사진 공부를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였는데, 당시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그는 외국의 사진이론서들을 어렵게 구해 독학으로 공부했고, 그 과정에서 사진이란 무엇인지, 사진의 본령은 무엇인지 탐구해 나갔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가 다다른 것은 사진의 ‘기록성’과 ‘사실성’이었다. ‘사진이란 기록하는 것’이며 ‘사진의 본령은 사실적 기록에 있다’는 당연한 명제를, 그는 지금까지 자신의 사진작업의 뿌리로 깊이 내려, 흔들림 없이 담담하게 걸어왔다.

                           

                          이 책에는 사진에 관한 이와 같은 그의 굳은 믿음들이 담겨 있다. 더불어 사진 찾아 떠돌며 마주친 이 세상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과 따듯한 애정, 자신의 사진작업에 관한 고백과 성찰, 다른 사진가들에 관한 평, 그리고 그의 말이 담긴 대담· 인터뷰·토론까지 다 실려 있다.

                           

                          “밥 그릇에 담겼다고 무엇이나 밥인가” ― 강운구의 ‘밥’ 사진론

                           

                          “이 땅에서는 ‘회화로서의 사진’이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사진으로, 새로운 사진으로 폭넓게 퍼졌다. 그것은 축복이자 재앙이었다. 아무리 카메라로 찍고 인화지 위에 그 이미지를 정착시켰다 하더라도 그것의 정체가 수상하다면, 밥그릇에 담겼다고 해서 무엇이나 다 밥은 아닌 것처럼, 본디 사진이라고 할 수 없다.” ― 「사진에 관한 토막 글」, p.14그는 특유의 ‘밥’ 사진론으로 우리 사진계를 매섭게 질타했다.

                           

                          예술장르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사진은 회화적 경향으로 회화는 사진적 경향으로 서로의 담을 넘었는데, 자기가 하는 것이 밥인지 죽인지도 모르면서 하는, 심지어는 죽도 밥도 아닌 ‘작품’을 하는 우리의 사진현실을 지적한 것이다. 그의 주장은, 요컨대 ‘밥인지 죽인지는 알고나 하자’ 이다. 쌀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요리는 밥이라며 자신의 ‘밥’ 사진론을 펴는 그는, 그리하여 사진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사실적 기록으로 우리 땅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꾸준히 탐구했다.

                           

                          반면, 사진을 인위적으로 가공하거나, 다른 매체와 결합하거나 덧대거나, 자르거나 찢거나 하는 예술을 외국에서는 사진가가 아닌 ‘아티스트’ 라는 이름의 예술가들이 했는데, 문제는 우리의 경우 사진가들이 점차 이런 경향으로 기울고 있으며, 이러한 작품을 새로운 사진작업으로 여기고 있다는 점이다. 본질적인 의미에서는 이는 사진이 아니라 사진매체를 응용한 ‘종합예술’이라 불러야 마땅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거두절미하고 사물의 핵심을 파고들어 가는 문장 ― 사진가의 글쓰기

                           

                          “그때 그날 설핏하게 기울던 해가 낮게 깔린 구름 속으로 잠겼을 때, 느닷없이 장난처럼 함박눈이 쏟아져 내렸다. 궁핍하던 시대의 궁핍하던 사람들이 짓던 이 넉넉한 표정과 분위기는 도무지 말로는 설명할 수가 없다. 이윽고 흰 눈에 잿빛이 묻어 내리자 마을은 어둠에 잠겼다. 춥고 기나길던 겨울이었다.” ― 「사진과 겨루기에서 슬프지 않은 것은 없다」, p.90강운구는 사진작품 못지않게 글 잘 쓰는 사진가로도 유명하다.

                           

                          그의 사진산문집 『시간의 빛』(2004)과 『자연기행』(2008) 등을 통해 입증되기도 했지만, 그는 이미 1970년대부터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에 사진과 글을 실으면서 많은 산문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그는 거두절미하고 사물의 핵심을 파고들어 가는 문장, 군더더기 없는 명징한 문장, 그리고 풍부한 인문학적 소양이 돋보이는 세련된 문장을 선보였다. 이 책에 담긴 여러 산문들에서 이러한 그의 문장들을 우리는 만날 수 있는데, 한 사진가가 자신의 작업을 사진으로뿐만 아니라 글로써 얼마나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한편, 그는 홍순태, 한정식, 육명심, 주명덕, 정범태, 이갑철 등 다른 사진가의 작업이나 전시회에 대한 평문도 적지 않게 발표했는데, 그는 여느 비평가들과는 달리 어려운 철학이론이나 미학개념을 끌어들이지 않으면서, 오히려 가장 쉬운 언어와 가장 명징한 논리로 그네들의 작품을 비평했다. 비판의 지점, 찬사의 지점을 분명한 논리로 명확히 평가하고 있는 그의 평문들은,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런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며, 어찌 보면 새로운 비평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이 책에 실린 글들을 모두 ‘사진론’이라 할 수는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가벼운 산문에도 저자의 사진에 관한 중요하고 날카로운 ‘론論’들은 담겨 있다. 특히 그의 목소리를 담은 마지막 장 ‘대담 · 인터뷰 · 토론’에는 글은 아니지만 그의 ‘론’을 더욱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대목들을 접할 수 있다.이 책의 미덕은 전문가든 일반인이든 사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쉽게 씌어진 글들 속에서 우리는 ‘굵직한’ 강운구의 사진 ‘론’ 을 만날 수 있다.

                           

                          목차 

                           

                          발행인의 서문 5

                           

                          1 ‘밥’ 사진론

                          사진에 관한 토막 글 13

                          그림 같은 사진, 사진 같은 그림 15

                          한국사진의 미래 24

                          보이지 않는 삶까지 직시한다? 36

                          현대 사진예술의 변모 44

                          사진의 회화성과 사실성 56

                          사진, 무엇을 위한 것인가 65

                           

                          2 나의 사진, 그들의 사진

                          시간과 겨루기에서 슬프지 않은 것은 없다 81

                          서른 해 동안, 이 땅은 소용돌이치는 바다가 되었다 97

                          그곳들은 아직도 그윽하다 102

                          나는 끝내 돌부처의 본디 모습을 알아내지 못했다 105

                          운명과 인식 106넋이야 신이야 133

                          산골 물소리에서 소리 죽은 강까지 153

                          보고 읽는 책 163

                          ‘매의 눈’으로 포획한 ‘결정적 순간들’ 169

                          사진이 무엇인지, 사진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173

                          자유로운 영혼에 기대서 175

                          도사와 또라이 181

                          정범태의 사진과 의식 184

                          짧은 글에, 긴 주석 191

                           

                          3 사진 찾아 떠돌며

                          길에서 길을 잃다 209

                          어디에 누울 것인가 211

                          ‘철없는’ 자동차, ‘거만한’ 보행자 213

                          카메라를 든 건달 215

                          생각하는 예술, 느끼는 예술 217

                          ‘해체’에 휘둘리는 사진 219

                          이력서 한 줄의 노예들 221

                          청개구리 사진가 223

                          작가 증명서 225

                          쫓겨나는 한글 227

                          작품 이름 달기의 한계 229

                          표준렌즈 없는 세상 231

                          아첨하는 사진들 233

                          디지털이 몰아낸 장인 솜씨 236

                          한 눈으로 세상 보기 239

                          백예순세 살짜리 거대한 아이 242

                          사진 느낌 서로 다른 이유 24

                          5‘프리’, 끝까지 지키려면 248

                           

                          4 이런 글, 저런 사진

                          개와 사람 253

                          그 다음 불의 역사 256

                          바람 속의 낮은 목소리 261

                          프로필과 얼굴 사진을 대신하는 글 몇 줄 266

                          빛바랜 사진 몇 장 269

                          한창기 사진 272

                           

                          5 대담.인터뷰.토론

                          쌀로 만들 수 있는 최고의 요리는 밥이다 285

                          근본적으로 작가는 외톨이여야 한다 303

                          토론: 사진가 강운구와의 대화 319

                          저자 후기 367

                          수록문 출처 369

                          찾아보기 372

                           

                          In English »

                           

                          저자 

                           

                          강운구 (저자)

                          강운구(姜運求, 1941- )는 문경에서 태어나 경북대를 졸업했다. 1966년부터 『조선일보』 사진기자로 삼 년간 일하다가, 뉴스보다는 잡지의 기획된 사진이 작가로서 더 바람직하다는 생각으로 그만두고, 사진의 이론과 역사에 관한 책들을 읽으며 작가로서의 길을 가늠해 나가기 시작했다. 1970년 동아일보사 출판국 사진부에 들어가 일했으나, 1975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에 가담하여 농성하던 중 해직되었다. 1983년부터 『샘이깊은물』에서 사진편집위원과 프리랜서 사진가로 일했으며, 이때 한국 잡지사상 최장기간인 십 년 동안 「이 마을 이 식구」라는 제목으로 글과 사진을 연재했다. 인하대 미술교육과, 중앙대 사진학과, 중앙대 예술대학원, 숙명여대 대학원 등에서 사진을 가르치기도 했으며, 1983년 이후로는 제한된 전람회장의 벽면보다는 잡지나 책의 지면에 더 비중을 두며 현재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운구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 왔으며,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학고재), 「모든 앙금」(1997, 학고재), 「마을 삼부작」(2001, 금호미술관), 「저녁에」(2008, 한미사진미술관) 등 네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1978), 『경주남산』(1987),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7), 『마을 삼부작』(2001), 『강운구』(2004), 『저녁에』(2008), 『오래된 풍경』(2011) 등이 있다. 사진산문집으로 『시간의 빛』(2004), 『자연기행』(2008)이 있고, 저서로는 『강운구 사진론』(2010)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1999), 『능으로 가는 길』(2000), 『한국 악기』(2001) 등이 있다.

                           

                          저자/역자의 다른 책들

                           

                          • 경주남산
                          • 오래된 풍경
                          • Gyeongju Namsan (스페인어판)
                          • 저녁에
                          • 우연 또는 필연 (개정판)
                          • 강운구 마을 삼부작 그리고 30년 후 (전2권 세트)
                          • 강운구
                          • 한국 악기
                          • 강운구 마을 삼부작
                          • 최종태 교회조각
                          • 우연 또는 필연 (저자서명 한정판)
                          • 우연 또는 필연
                          • 요제프 쿠델카
                          • 으젠느 앗제
                          • 앙드레 케르테츠
                          • 정범태
                          • 경주남산
                          • 나다르
                          • 앙리 까르띠에-브레쏭
                          • 자끄-앙리 라르띠그
                          • 아메리카, 암흑시대
                          • 로베르 드와노
                          • 카메라 워크
                          • 유진 스미드
                          • 로버트 프랭크
                          • 듀안 마이클
                          • 브루스 데이비드슨
                          • 우연 또는 필연 (엽서세트)
                          Writer
                          Email
                          Password
                          Confirm Password
                          Rating
                          No Reviews Have Been Created.
                          Modify Review
                          Writer
                          Email
                          Rating
                          Return To List
                          No Subject Writer Date
                          No Questions Have Been Created.
                          Subject
                          Writer
                          Email
                          Password
                          Confirm Password
                          Upload Image
                          Subject
                          Writer
                          Email
                          Upload Image
                          Edit
                          Delete
                          Return To List
                          Return

                          강운구 사진론

                          22,500원 25,000원
                          추가 금액
                          수량
                          품절된 상품입니다.
                          주문 수량   0개
                          총 상품 금액 0원
                          재입고 알림 신청
                          휴대폰 번호
                          -
                          -
                          재입고 시 알림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밴드
                          구글 플러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안목 | 대표: 박태희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재현 | 전화: 051-949-3253 | 이메일: anmocin@gmail.com

                          주소: 부산시 해운대구 달맞이길 117번나길 163, 201호 | 사업자등록번호: 897-50-00506 | 통신판매: 2021-부산해운대-1388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